DB Key를 URI나 파라미터로 노출하는 것은 위험할까?
TL;DR
Auto‑Increment ID를 그대로 URI에 노출하면 예측 가능성 때문에 brute‑force·IDOR 등 여러 공격에 당할 수 있는 취약점이 발생한다. 대안은 식별자를 암·복호화처리하거나, 처음부터 예측 불가능한 식별자를 쓰는 것이다. 후자가 훨씬 단순하고 실용적이다.
Visual BASIC 6.0 Developer
TL;DR
Auto‑Increment ID를 그대로 URI에 노출하면 예측 가능성 때문에 brute‑force·IDOR 등 여러 공격에 당할 수 있는 취약점이 발생한다. 대안은 식별자를 암·복호화처리하거나, 처음부터 예측 불가능한 식별자를 쓰는 것이다. 후자가 훨씬 단순하고 실용적이다.
둘 다 이벤트가 너무 자주 실행되는 것이 성능에 지장을 주는 경우에 사용하는 패턴이다.
apt update와 apt upgrade를 실행하는 중에 에러가 발생했다.
L1 + R1을 입력하면서 전원버튼을 입력하면 리커버리이미지로 부팅된다. 각종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이미지라고 이해하고 있다.
Expected linebreaks to be ‘CRLF’ but found ‘LF’. eslint(linebreak-style)
시놀로지 DSM에서는 이미 Nginx를 사용하고 있다. 시놀로지 맨 처음 설치할 때 보는 페이지 등 webStation의 기본이 Nginx로 구동되고 있는 것이다.
시놀로지에서 구동되는 Nginx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conf파일을 수정하거나 가상호스트를 사용하는 것인데 그것보다는 별도의 Nginx를 구축하는것이 낫다고 생각되었다. Docker를 통해 별도로 Nginx 컨테이너로 구성하기로 했다.
인텔의 초기 CPU 모델은 80286, 80386, 80486, 80586(팬티엄) 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이는 80x86의 규칙으로 쓸 수 있고 줄여 x86이라는 표현을 썼다. 대체로 인텔 CPU와 호환되는 CPU 제품을 x86이라 부른다. 32비트/64비트를 구분할 때도 x86이라는 용어를 쓴다. x86은 32비트를, x64는 64비트를 의미한다.
C#으로 COM 인터페이스된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 몇시간 아니 몇십시간 낭비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C#을 다뤄본 적이 없기 때문에 맨땅에 헤딩하며 기록한 기본적인 지식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BA에서는 DLL(혹은 tlb, olb) 파일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크게 두가지 입니다.
_
post내의 2014-3-3-Hello-World.md 파일을 열면
---
layout: post
title: You're up and running!
---
같은 내용이 보일 것입니다. 지킬에서 Front Matter라고 부르는 부분인데, 서문이라고 번역되는군요. 이 세 점선 사이에서 미리 정의 된 변수를 설정하거나, 사용자 정의 변수를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깃을 잘 모릅니다만,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이 깃페이지를 쉽게 시작하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글을 작성해봅니다.